본문 바로가기
경제

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사이드카 발동 조건과 대표적 사례들

by 박주님 2024. 8. 9.
반응형

[ 목차 ]

   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충격을 예방하고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라는 제도가 있습니다. 오늘은 사이드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    주식시장에서 사이드카의 발동 조건

    사이드카는 선물시장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은 선물의 가격이 코스피의 경우 상하로 5%, 코스닥의 경우 상하 6% 이상 변동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면 발동이 됩니다. 

    사이드카가 발동이 되면 어떻게 되나?

    반응형

    사이드카가 발동이 되면 서킷브레이커처럼 거래를 전면으로 제한하지는 않고,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매매를 5분 동안 차단합니다. 

    하루에 한 번만 발동이 가능하다 

    사이드카는 하루에 한 번만 발동이 가능하며, 장 종료 40분 전에는 발동이 금지됩니다. 하루에 한 번만 발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식시장에서의 많은 변동성을 안정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비판이 많습니다. 

    대표적인 우리나라의 사이드카의 발동 사례들

   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투표하는 브렉시트로 인해 발동

    유럽-연합-깃발-이미지
    영국은 전국민 투표로 유럽연합을 탈퇴하게 된다.

    2016년 6월 24일에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는 투표를 개표를 하였습니다.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하게 됨으로써 세계적인 증시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우리나라도 코스닥 지수가 6.19% 급락하게 되고 사이드카가 발동이 되었습니다.

   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선언으로 인한 발동

    코로나-바이러스-가-지구-위에-떠있는-모습
   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렷던 코로나 바이러스

    2020년 3월 12일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팬데믹 선언으로 인해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이 급락하였습니다. 2011년 이후 코스피 시장에서 8년여 만에 처음으로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.

    한-미 통화 스와프 체결로 인한 사이드카 발동

    사이드카는 시장이 급락할 때만 발동되는 게 아니라 급상승하는 경우에도 발동이 됩니다. 2020년 3월 20일에 전날에 있었던 한-미 통화 스와프 체결로 인해 우리나라 증시가 급등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. 이때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.

     

    반응형